맨위로가기

마자방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자방 문화는 기원전 50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에 존재했던 중국 신석기 문화로, 태호 유역, 항저우 만 북안, 저우산 군도 등지에 분포했다. 쌀 농사를 기반으로 하며, 돼지 사육, 수렵, 어로 활동도 병행했다. 옥기, 도기, 석기 등 다양한 유물을 제작했으며, 매장 방식은 시기별로 변화했다. 허무두 문화와 공존하며 교류했으며, 송저 문화와 량주 문화로 이어진다. 1959년 저장성 자싱 시의 마자방 유적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장강 유역이 중국 문명의 요람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강 삼각주 - 사오싱시
    사오싱시는 중국 저장성에 위치한 역사적인 도시로, 월나라 수도였으며, 황실의 번영을 기원하는 이름에서 유래했고, 법률 전문가 네트워크 중심지이자 주요 인물들의 고향이며, 특산물과 관광 산업이 발달한 지급시이다.
  • 장강 삼각주 - 항저우시
    항저우시는 저장성의 성도이자 부성급시로,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남송 시대 수도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개혁개방 이후 경제 성장과 국제 행사를 통해 국제적인 도시로 발돋움한 곳이다.
  • 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 박선 문화
    박선 문화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 문화로, 동굴이나 암반에서 거주하며 사냥, 채집, 초기 농업을 했고, 정교한 석기와 도자기, 다양한 재료의 장신구를 사용했다.
  • 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 다붓 문화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룽산 문화
    룽산 문화는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경 황하 유역에서 번성한 신석기 시대 후기 문화로, 흑색 도기, 도시 출현, 사회 계층화 심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중국 문명 기원과 발달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양사오 문화
    황하 유역에서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번성한 양사오 문화는 채색 도기, 움집, 수수 경작을 특징으로 하며 룽산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농업 방식과 사회 구조에 대한 논쟁이 있다.
마자방 문화
문화
마자방 문화 지도
마자방 문화 지도
개요
다른 이름마-치아-팡 문화
시기신석기 시대 중국
연대기원전 5000–3350년
지역저장성, 중국
대표 유적지웨이둔 유적지
이전 문화해당 없음 (기원)
다음 문화량주 문화

2. 명칭

1959년 저장성 자싱 시의 마자방(馬家浜)에서 신석기 시대의 유적(마자방 유적)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1951년에 장쑤 성 북부 화이안 시의 칭롄강(青蓮崗)에서 발견되어 1958년에 명명된 칭롄강 문화(青蓮崗文化)의 일부라고 생각되었지만, 후에 장쑤성 북부의 칭롄강 문화 유적과는 다른 문화인 것이 밝혀져, 1977년에 마자방 유적의 이름을 따서 정식으로 《마자방 문화》로 이름 붙여졌다.

이후 고고학자들은 장쑤성 북부 유적이 대문구 문화에 속한다는 것을 깨닫고, 장쑤성 남부 유적을 마자방 문화로 재명명했다.

3. 연대 및 환경

마자방 문화는 기원전 50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로 추정된다. 이 시기 장강 하류 지역은 현대보다 온난 다습한 기후였다.[8] 기원전 7000년에서 6500년 사이의 연간 강수량은 1500~2000mm였고, 평균 기온은 15~18°C였다. 그 이후, 기원전 6000년경에 평균 기온이 하락했고, 기원전 5500년경에 다시 약간 상승했다. 기원전 5300년 이후, 현세 동안 북유럽과 북아시아의 기후 변화와 더불어 기온이 점차 낮아졌다.[8]

4. 분포 및 관련 유적

마자방 문화는 태호 유역과 항저우 만 북안, 저우산 군도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했다. 항저우 만 남안의 허무두 문화와는 1,000년 이상 공존하며 교류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유적으로는 마자방 유적, 웨이둔 유적, 차오셰산 유적 등이 있다.

4. 1. 주요 유적

웨이둔 유적에서 발견된 도기 조리용 스토브


마자방 문화의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 '''마자방 유적''': 1959년 저장성 자싱 시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
  • '''웨이둔 유적''': 1985년 장쑤성 창저우 시에서 발견되었으며, 38개의 매장지와 다양한 유물이 발굴되었다.[9]
  • '''차오셰산 유적''': 벼농사의 흔적이 발견되어, 마자방 문화인들이 쌀을 재배했음을 보여준다.[1]

4. 1. 1. 마자방 유적

1959년 저장성 자싱 시에서 신석기 시대의 유적(마자방 유적)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1951년장쑤성 북부 화이안 시의 칭롄강(青蓮崗)에서 발견되어 1958년에 명명된 칭롄강 문화의 일부라고 생각되었지만, 후에 장쑤 성 북부의 칭롄강 문화 유적과는 다른 문화인 것이 밝혀져, 1977년에 마자방 유적의 이름을 따서 정식으로 《마자방 문화》로 이름 붙여졌다.

4. 1. 2. 웨이둔 유적

1985년 9월 장쑤성 창저우 시 웨이둔 마을에서 마자방 문화의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인 웨이둔 유적이 발견되었다. 창저우 박물관과 저장대학교 인류학과 고고학팀은 이 유적에서 여러 유물과 약 38개의 매장지를 발굴했다.[9] 유적의 퇴적층은 거의 2m에 달하며, 최상층의 경작층, 황갈색 토양, 황록색 토양, 회갈색 토양, 회흑색 토양, 최하층의 황갈색 불임 토양 등 6개의 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10]

매장지 33개는 마자방 문화 시기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황갈색, 회갈색, 회흑색 토양층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7개의 매장지에서만 부장품이 발견되었는데, 황갈색 토양층 아래에서 발견된 M127호 묘가 그중 하나였다. 이 무덤 안에서는 관이나 매장 구덩이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고, 대신 남성 골격 1구가 20도 각도로 뒤로 누워 동쪽을 향하고 있었으며, 석 대패, 방추차, 도기 보울(bowl) 등 몇 점의 부장품이 발견되었다.[11]

4. 1. 3. 차오셰산 유적

차오셰산 유적(草鞋山遺跡)에서는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1] 이는 마자방 문화 사람들이 쌀을 재배했다는 증거를 보여준다.[1]

5. 문화

마자방 문화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차오쎄산 유적에서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35] 그러나 돼지 사육 흔적이나 노루 등도 발견되어 수렵, 채집, 어로 활동도 병행했다.

마자방 문화에서는 옥기와 도기 등 다양한 유물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유물들은 당시 사람들의 신앙과 경제적 필요를 반영하며, 사회적 지위와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12]

5. 1. 생업

마자방 문화의 주요 생업은 벼농사였다. 차오쎄산 유적에서는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고,[35] 장강 삼각주에서 벼농사가 마자방 문화 초기에 시작되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36] 벼농사는 빠르게 확산되었지만,[36] 사람들은 사냥, 낚시, 채집도 병행했다.[36]

루오자자오 유적(기원전 5300년~4900년)은 초기의 논 중 하나로,[37]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에서 수백 개의 탄화된 쌀겨와 쌀알을 발굴했다. 절반은 재배된 자포니카 품종이고, 나머지 절반은 야생 품종이었다.[38] 이후(기원전 5000년~3500년) 다른 유적지에서도 쌀 유적이 더 많이 발견되었는데,[39][40] 벼농사 비중은 증가하고 야생 식물 채집은 감소했다.[40]

마자방 문화 사람들은 차오쎄산 유적에서 발견된 논의 흔적에서 알 수 있듯이 쌀을 재배했다.[35] 그러나 유적에서는 돼지 사육 흔적이나 노루 등도 발견되어, 동물 수렵이나 사육도 병행하며 농업에만 전적으로 의존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

5. 1. 1. 벼농사

마자방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생업은 벼농사였다. 차오쎄산 유적(草鞋山遺跡)에서는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35] 전문가들은 장강 삼각주에서 벼농사가 마자방 문화 초기에 시작되었다고 본다.[36] 벼농사는 빠르게 확산되었지만,[36] 사람들은 사냥, 낚시, 채집도 함께 했다.[36]

루오자자오 유적(기원전 5300년~4900년)은 가장 초기의 논 중 하나였다.[37] 이 유적에서 고고학자들은 수백 개의 탄화된 쌀겨와 쌀알을 발굴했는데, 절반은 재배된 자포니카 품종이고, 나머지 절반은 야생 품종이었다.[38] 후기(기원전 5000년~4300년, 기원전 4300년~3500년)의 다른 유적지에서도[39] 쌀 유적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40] 초기와 비교했을 때 벼농사 비중은 증가했고, 야생 식물 채집은 감소했다.[40]

5. 1. 2. 수렵, 채집, 어로

마자방 문화 사람들은 쌀을 재배하였다. 차오쎄산 유적(草鞋山遺跡)에서는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유적에서는 돼지 사육 흔적이나, 노루 등도 발견되고 있어, 당시 사람들이 동물 수렵이나 사육도 하였고 농업에 전면적으로 의존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5. 2. 물질 문화

1959년 저장성 자싱 시 마자방에서 신석기 시대 유적인 마자방 유적이 발견되었다. 마자방 문화 사람들은 을 재배했으며, 차오쎄산 유적에서는 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유적에서는 돼지 사육 흔적과 노루 등도 발견되어, 당시 사람들이 수렵이나 사육도 병행하며 농업에 전면적으로 의존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비취 등으로 만든 장신구, 비교적 높은 온도로 구운 홍도, 의복 섬유 등도 발견되었다.

마자방 사람들은 옥 장신구를 만들고, 도기를 제작해 일상생활에 사용했다. 돌, 나무, 뼈, 뿔, 이빨 등 다양한 재료로 도구를 제작하기도 했다.

5. 2. 1. 옥기

마자방 문화 옥 궐


마자방 사람들은 옥을 사용해 장신구를 만들었다. 웨이둔 유적의 마자방 문화 퇴적층에서는 옥 귀걸이, 황 펜던트, 작은 튜브 등 여러 옥 제품이 발견되었다.[13] 현지 재료로 만든 환형 옥 반지와 반환형 옥 디스크도 발견되었다.[14]

5. 2. 2. 도기

마자방 문화의 초기 시대의 모든 도기와 후기 시대의 대부분의 도기는 수작업으로 만들어졌다. 후기에는 초기에 비해 더 많은 종류와 스타일의 도기가 제작되었다.[15] 마자방 사람들은 특정 기능을 염두에 두고 도기, 냄비, 항아리, 그릇 등을 만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은 요리, 음주, 의례 등 일상생활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16] 초기에는 강둑에서 가져온 진흙, 쌓아둔 장작, 평평한 땅을 사용하여 도기를 만들었지만, 후기에는 도기에 붉은 덮개를 씌우기 시작했다.[17] 이 외에도 도기들은 매장 용품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고분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증명되었다.

웨이둔 유적에서 고고학자들은 퓨-가마솥, 관-항아리, 딩-삼발이, 도우-줄기 접시, 보-그릇, 펜-분지 등 엄청난 수의 도기 유물을 발견했다. 이 유물들 대부분은 고운 점토 제품이었고, 일부는 조개껍질이나 모래로 강화되었다.[18]

5. 2. 3. 도구

마자방 문화 사람들은 돌, 나무, 뼈, 뿔, 이빨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도구를 제작하였다.[26] 나무가 주요 재료였다.[26] 웨이둔 유적에서는 돌도끼, 돌끌, 나무 노, 뼈칼, 사슴뿔 도구 등이 발견되었다.[27][28][29][30][31]

  • 석기: 주로 끌과 도끼 형태였으며, 대부분 연마되어 있었다.[27] 끌은 넓고 평평한 A형과 띠 모양의 B형, 도끼는 평행 사변형 모양의 A형과 혀 모양의 B형으로 나뉜다.[28][29]
  • 목기: 노와 노젓개가 발견되었다. 노젓개는 굵은 통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길이는 120cm이다. 노는 손잡이가 달린 평평하고 반타원형이며, 길이는 70~90cm이다.[30]
    마자방 목제 노
  • 골각기: 뼈로 만든 자와 칼, 사슴 뿔로 만든 신발 모양 도구, 화살촉, 송곳, 바늘, 창, 튜브 등이 있었다.[31]
    마자방 사슴뿔

5. 3. 매장 문화

마자방 유적지의 매장 유적지


매장 문화는 마자방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신념과 유물 제작 능력을 보여준다. 마자방 시대 사람들은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죽은 후 사람들의 영혼이 예전 삶의 터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믿음이었다. 이러한 믿음은 이 시대의 무덤이 정착지 근처에서 발견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무덤 발굴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은 기원전 6500년경의 사람들은 특별한 매장 구역을 두지 않았으며, 보통 정착지 근처에 옆으로 누워 팔다리를 구부리고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매장했다고 추정한다.[32] 예를 들어, 위둔 유적 M127호 무덤에서 발견된 남성 골격은 20도 각도로 동쪽을 향하고 있었다.[33] 500년 후, 매장 문화는 변화하여 머리를 북쪽으로, 발을 남쪽으로 향하게 하여 길게 뻗은 자세로, 합쳐진 매장 구역의 개별 매장 구덩이에 매장되었다.[34]

6. [[송저 문화]] 및 [[량주 문화]]와의 관계

마자방 문화는 이후 송저 문화로 이어졌으며, 송저 문화는 다시 량주 문화로 발전하였다. 마자방 문화는 태호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장강 하류 지역 문명의 요람지 중 하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량주 문화장강 하류 지역의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후기 문화로, 옥기 문화가 발달했다.

7. 의의

마자방 문화는 장강 유역이 황하 유역과 함께 중국 문명의 요람이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마자방 문화가 한국의 신석기 문화와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간행물 Majiabang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
[2] 논문 A revised chronology for the archaeology of the lower Yangtze, China, based on Bayesian statistical modelling http://dx.doi.org/10[...] 2015-11
[3] 논문 Exploration of early rice farming in China http://dx.doi.org/10[...] 2010-11
[4] 서적 Search for the Origin of Rice Cultivation: The Ancient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s at the Cao Xie Shan Site in China Society for Scientific Studies on Cultural Property
[5] 논문 Water management and labour in the origins and dispersal of Asian rice
[6] 논문 Yayoi Farmers Reconsidered: New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in East Asia https://journals.lib[...]
[7] 웹사이트 The Shanghainese of 6000 Years Ago - the Majiabang Culture http://museum.shqp.g[...] 2014-11-24
[8] 간행물 Majiabang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01
[9]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10]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11]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s://www.degruyte[...] 2002-01-01
[12] 간행물 The Neolithic Revolution in the South ca. 7/6000–2000 bce: Majiabang, Hemudu, Daxi, and Songze Culture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0
[13]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14] 간행물 Majiabang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01
[15]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16] 간행물 Majiabang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01
[17] 간행물 Majiabang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01
[18]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19]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0]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1]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2]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3]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4]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5]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6]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7]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8]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29]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30]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31]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dx.doi.org/10[...] 2002-01-01
[32] 간행물 Majiabang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01
[33] 논문 The Weidun Site in Changzhou, Jiangsu in 1985 https://www.degruyte[...] 2002-01-01
[34] 간행물 Majiabang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01
[35] 논문 Exploration of early rice farming in China http://dx.doi.org/10[...] 2010-11
[36] 간행물 Mid- to late Holocene geomorphological and hydrological changes in the south Taihu area of the Yangtze delta plain, China http://dx.doi.org/10[...] 2018-06
[37] 서적 Rice fields,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prehistoric Lake Taihu region and the Ningshao Plain http://dx.doi.org/10[...] UCL Press 2022-05-12
[38] 서적 Rice fields,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prehistoric Lake Taihu region and the Ningshao Plain http://dx.doi.org/10[...] UCL Press 2022-05-12
[39] 서적 Rice fields,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prehistoric Lake Taihu region and the Ningshao Plain http://dx.doi.org/10[...] UCL Press 2022-05-12
[40] 서적 Rice fields,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prehistoric Lake Taihu region and the Ningshao Plain http://dx.doi.org/10[...] UCL Press 2022-05-12
[41] 문서 中国語の「浜」は、日本語の漢字における「浜」(中国語では「濱」、または簡体字で「滨」と書く)とは異なる文字で「小川」を意味する。音読みは「ホウ」とな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